- CSE

Computer Science & Engineering
· - CSE
GET : API로부터 정보를 받아오는 역할POST : API 리소스를 만드는 역할PUT : 기존에 만들어진 API 리소스를 업데이트 하는 역할DLETE : 기존에 만들어진 API 리소스를 삭제하는 역할 리소스는 뭐지? API에서 Resurce란 API에 연결된 DB를 지칭하는 말이 아닌웹서비스나 API를 통해 접근하고 조작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나타낸다.즉, 리소스는 일반적으로 웹서비스에서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개체나 데이터를 의미한다.웹기반 블로그 플랫폼의 API라고 가정한다면주소를 받게 될 것이다.  URL(Uniform Resource Locator) : 인터넷 상의 리소스 위치를 지정하는데 사용되는 특정한 문자열URL의 경우 위치를 파악해야하기 때문에 Protocol(Scheme)이 생략될 ..
· - CSE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가 통신을 할 때 사용하는 통신규칙(Protocol)웹 브라우저  →  웹 서버 : Request웹 서버 → 웹프라우저 : Response  서버가 응답했을 때 상태 정보(status code)는 위키피디아를 통해 알 수 있다.
· - CSE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응용 프로그램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는 컴퓨터나 컴퓨터 프로그램 사이의 연결을 의미한다.이것은 일종의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이며, 다른 종류의 소프트웨어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해하기 쉽게 말하자면 인터페이스는 A와 B의 접점을 만드는 것이다. 컴퓨터 모니터 사람 컴퓨터 키보드 사람 음식점 배달의 민족 사람
· - CSE
https://doonas4728.tistory.com/3 [CS] 부동소수점 오류(1) 최근에 들어간 단톡방의 사람들이 수준이 높아서 종종 대화하는 것을 읽다가 이해가 안가거나 궁금한 것을 캡쳐하던 중 재밌는 질문이 들어왔다. 100 - 64.1을 계산 했을 때 우리는 머리속으로 35.9 doonas4728.tistory.com 이전 글에서는 소수계산을 진행했을 때 왜 값이 이상하게 나오는지에 대해 다뤘다면 오늘은 근사값 오류를 개발자는 어떻게 다뤄야 하는지 알아보려고 한다. 계산 오차 해결방법 이러한 오류를 해결하면 좋지만, 우리는 이전페이지에서 리서칭하면서 정리해 본 결과 컴퓨터의 한계로 인해 오류를 해결하기보단 오류로 인한 에러를 줄이기 위해 접근하는 것이 맞는 표현인 것 같다. .NET에서의 해..
· - CSE
최근에 들어간 단톡방의 사람들이 수준이 높아서 종종 대화하는 것을 읽다가 이해가 안가거나 궁금한 것을 캡쳐하던 중 재밌는 질문이 들어왔다. 100 - 64.1을 계산 했을 때 우리는 머리속으로 35.9를 생각한다. 컴퓨터의 경우, 아래의 사진처럼 전혀 다른 답을 내놓았다. 왜 결과가 이렇게 나오는 것일까? 컴퓨터는 사람처럼 자유롭게 생각할 수 없다 실제로 컴퓨터는 실수를 저장할 때 가수부와 지수부로 나뉘어 저장하기 때문이다. 이때 저장되는 방식은 아래와 같다. $$ \left ( a \right )\times 2^b $$ a는 1보다 크거나 같고, 2보다 작은 실수이다. b는 정수이다. a(가수부)와 b(지수부)는 실제 메모리에 저장될 때는 다음과 같은 구조로 저장이 된다. 이는 IEE-754 부동소수점..
Doo_Nas
'- CSE'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