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설명
선물을 직접 전하기 힘들 때 카카오톡 선물하기 기능을 이용해 축하 선물을 보낼 수 있습니다. 당신의 친구들이 이번 달까지 선물을 주고받은 기록을 바탕으로 다음 달에 누가 선물을 많이 받을지 예측하려고 합니다.
- 두 사람이 선물을 주고받은 기록이 있다면, 이번 달까지 두 사람 사이에 더 많은 선물을 준 사람이 다음 달에 선물을 하나 받습니다.
- 예를 들어 A가 B에게 선물을 5번 줬고, B가 A에게 선물을 3번 줬다면 다음 달엔 A가 B에게 선물을 하나 받습니다
- 두 사람이 선물을 주고받은 기록이 하나도 없거나 주고받은 수가 같다면, 선물 지수가 더 큰 사람이 선물 지수가 더 작은 사람에게 선물을 하나 받습니다.
- 선물 지수는 이번 달까지 자신이 친구들에게 준 선물의 수에서 받은 선물의 수를 뺀 값입니다.
- 예를 들어 A가 친구들에게 준 선물이 3개고 받은 선물이 10개라면 A의 선물 지수는 -7입니다. B가 친구들에게 준 선물이 3개고 받은 선물이 2개라면 B의 선물 지수는 1입니다. 만약 A와 B가 선물을 주고받은 적이 없거나 정확히 같은 수로 선물을 주고받았다면, 다음 달엔 B가 A에게 선물을 하나 받습니다.
- 만약 두 사람의 선물 지수도 같다면 다음 달에 선물을 주고받지 않습니다.
위에서 설명한 규칙대로 다음 달에 선물을 주고받을 때, 당신은 선물을 가장 많이 받을 친구가 받을 선물의 수를 알고 싶습니다.
친구들의 이름을 담은 1차원 문자열 배열 friends 이번 달까지 친구들이 주고받은 선물 기록을 담은 1차원 문자열 배열 gift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이때, 다음달에 가장 많은 선물을 받는 친구가 받을 선물의 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제한사항
- 2 ≤ friends의 길이 = 친구들의 수 ≤ 50
- friends의 원소는 친구의 이름을 의미하는 알파벳 소문자로 이루어진 길이가 10 이하인 문자열입니다.
- 이름이 같은 친구는 없습니다.
- 1 ≤ gifts의 길이 ≤ 10,000
- gifts의 원소는 "A B"형태의 문자열입니다. A는 선물을 준 친구의 이름을 B는 선물을 받은 친구의 이름을 의미하며 공백 하나로 구분됩니다.
- A와 B는 friends의 원소이며 A와 B가 같은 이름인 경우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입출력 예
friends | gifts | result |
["muzi", "ryan", "frodo", "neo"] | ["muzi frodo", "muzi frodo", "ryan muzi", "ryan muzi", "ryan muzi", "frodo muzi", "frodo ryan", "neo muzi"] | 2 |
["joy", "brad", "alessandro", "conan", "david"] | ["alessandro brad", "alessandro joy", "alessandro conan", "david alessandro", "alessandro david"] | 4 |
["a", "b", "c"] | ["a b", "b a", "c a", "a c", "a c", "c a"] | 0 |
30분 타임오버로 문제 풀이 실패(2024/05/30)
How?
문제를 읽었을 때, 표를 생각했다.
주고 받는 것이 있고 친구가 만약 A,B,C,D로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 A ", "B", "C", "D"] 와 ["A C", "A C", "B A", "B A", "B A", "C A", "C B", "D A"]
준사람 \ 받은 사람 | A | B | C | D |
A | - | 0 | 2 | 0 |
B | 3 | - | 0 | 0 |
C | 1 | 1 | - | 0 |
D | 1 | 0 | 0 | - |
이렇게 보고 다음달에 받는 것을 보면
A : B, D → 2
B : C → 1
C : A → 1
D : null → 0
이렇게 되면 문제의 값을 얻을 수 있다.
그래서 friends의 길이를 기준으로 NxN의 2차원 배열을 구성하고 2중 반복문을 통해 표데이터를 만들었다.
만들어진 표 데이터를 기준으로 대칭을 진행했는데.
만약 A를 기준으로 매칭이 된다면
[" A ", "B", "C", "D"]로
[0][0], [0][1], [0][2], [0][3]으로 A가 B,C,D에게 준 선물을 파악하고
[0][0], [1][0], [2][0], [3][0]으로 A가 B,C,D에게 받은 선물을 파악한다.
이를 기준으로 A가 B,C,D에게 준 선물 > A가 B,C,D에게 받은 선물일 때마다 담달 받을 선물을 +1한다.
def solution(friends, gifts):
list = [[0 for _ in range(len(friends))] for _ in range(len(friends))]
gift_list = [0 for _ in range(len(friends))]
for connect in gifts:
A, B = connect.split()
A = friends.index(A)
B = friends.index(B)
list[A][B] += 1
for A in range(len(friends)):
for B in range(len(friends)):
if list[B][A] > list[A][B]:
gift_list[A] += 1
return max(gift_list)
Why?
지문에서 하나를 잘못 파악했다.
두 사람이 선물을 주고받은 기록이 하나도 없거나 주고받은 수가 같다면, 선물 지수가 더 큰 사람이 선물 지수가 더 작은 사람에게 선물을 하나 받습니다.
이 경우에 대해서 다루지 않았기에 정답이 나오지 않아 30분안에 문제를 푸는데 실패했다.
이래서 문제를 풀때 모든 조건을 만족하는 예시값을 만드는것이 중요한 것 같다.
나름의 해결책으로 찾은 것이 선물지수 비교인데 이게 같이 같을 경우 2번반복해서 또 틀렸다.
def solution(friends, gifts):
list = [[0 for _ in range(len(friends))] for _ in range(len(friends))]
gift_list = [0 for _ in range(len(friends))]
give_list = [0 for _ in range(len(friends))]
take_list = [0 for _ in range(len(friends))]
for connect in gifts:
A, B = connect.split()
A = friends.index(A)
B = friends.index(B)
give_list[A] += 1
take_list[B] += 1
list[B][A] += 1
for A in range(len(friends)):
for B in range(len(friends)):
if A != B:
giver = list[B][A]
taker = list[A][B]
if giver > taker:
gift_list[A] += 1
elif giver == taker:
A_giftpower = give_list[A] - take_list[A]
B_giftpower = give_list[B] - take_list[B]
give_list[A] = 0
take_list[A] = 0
give_list[B] = 0
take_list[B] = 0
if A_giftpower > B_giftpower:
gift_list[A] += 1
elif A_giftpower < B_giftpower:
gift_list[B] += 1
i = 0
return max(gift_list)
friends = ["joy", "brad", "alessandro", "conan", "david"]
gifts = ["alessandro brad", "alessandro joy", "alessandro conan", "david alessandro", "alessandro david"]
print(solution(friends, gifts))
중복을 막고자 값이 같아 선물지수를 파악할 경우 값을 초기화함으로써 해결했지만 시간초과가 떴다.
정답
시간초과가 떴다는 것은 아마 2중반복문은 악수라는 뜻이다.
최대한 한번에 해결하는 것이 좋다.
def solution(friends, gifts):
g_record = {} # 딕셔너리 선언
for fri_set in friends:
g_record[fri_set] = [0, {}] # [선물지수, 선물을 주고 받은 딕셔너리]
for fri_input in friends:
if fri_set != fri_input:
g_record[fri_set][1][fri_input] = 0 # 선물을 주고 받은 딕셔너리 리스트 추가
for gift in gifts:
A,B = gift.split()
g_record[A][0] += 1 # 준 선물
g_record[A][1][B] += 1 # B에게 준 선물
g_record[B][0] -= 1 # 받은 선물
g_record[B][1][A] -= 1 # A에게 받은 선물
answer = [0] * len(friends) # 배열 선언
for key, values in g_record.items():
owner = friends.index(key)
giftpower = values[0]
for taker, count in values[1].items():
if count > 0 : # 준 선물량이 많다
answer[owner] += 1
elif count == 0 : # 준 선물량과 받은 선물량이 동일
if giftpower > g_record[taker][0] : #선물지수 차이
answer[owner] += 1
return max(answer)
이 문제의 효율적인 해결법은 자료구조를 배열이 아닌 딕셔너리를 사용하는 것이었다.
자꾸 배열에 집착하는거 같다.